“버스는 시민을 위한 공공재…공영제로 운영하라”

2013-04-04     황영민 기자
▲기자회견에 참가한 시민단체 회원들이 공영제 실시를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평택 시민단체, 버스공영제 실시촉구 기자회견

평택시내 97개 노선에는 3개 민간버스회사 총 178대의 버스가 시민의 발이 되고 있다. 하지만, 버스 운행과 관련된 시민들의 민원은 매년 속출하고 있으며, 버스 노동자들의 열악한 근로환경 역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지난 29일 평택 버스공영제를 위한 시민대책위(진보신당 평택안성당원협의회, 평택민주단체연대회의, 평택참여자치시민연대)는 평택시청 정문 앞에서 공영제 실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과 범시민운동 개시를 선포했다.

버스공영제는 시내버스 노선권을 민간업체가 아닌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제도이다. 현재 서울특별시와 전국 광역시에서는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전남 신안군에서는 완전공영제를 실시하고 있는 사례가 있다.

강상원 평택연대 집행위원장은 “평택의 버스는 무정차, 신호위반, 불친절, 과속뿐만 아니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적다”며 “이는 버스회사의 이윤추구를 위한 무리한 배차와 인력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라며 현재 민간운영 체제의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어 “버스는 대다수의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공재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평택시에도 관리의 책임이 있다. 이번 기자회견을 통해 버스공영제 실시가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김상현 민노총 공공운수노조 협진여객지회장은 민간업체의 무리한 배차시간 조정과 버스인허가건에 무관심한 시의 태도, 가스가 새는 버스로 인한 환경문제와 사고 위험성을 지적했다.

 또한, 김 지회장은 “버스회사들은 근본적인 문제점 해결이 아닌 버스 노동자들에게만 책임을 전가해, 징계 또는 사퇴 압박인 백지사표를 강요하고 있다”며 버스 노동자들의 열악한 처우를 밝혔다.

한편, 시민대책위는 향후 범시민운동을 통해 ▲버스에 대한 시민불만, 운전자들의 근로조건 실태, 버스정책 등에 대한 설문 조사 ▲공영제 필요성을 알리는 대시민 선전·홍보 활동 ▲1인 시위, 범시민 결의대회, 공청회 등 다각적인 노력을 펼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