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수장 위험"-행담도 개발 백지화 요구
10여개 단체 합세-인근지역과 연대 투쟁 지속 천명
2001-01-10 강경숙
행담도는 원래 6만9천평의 면적을 갖고 있으며 어민들의 황금어장과 청정지역으로 이미 알려졌으며 국제적으로도 유명한 조류서식지였다. 도로공사는 2470억원을 들여 행담도와 주변갯벌 10만5천평을 확대 매립해 모두 17만4천평의 해양복합 관광휴게실을 건립한다.
대책위 집행위원장 정수일씨는 "이미 부곡(97만평)과 고대국가공단(67만평), 포승국가공단의 1/3 정도가 바다를 매립해 건설되었고 서해대교 교각이 바다속으로 10여개가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 다시 행담도 갯벌을 확대 매립해 개발한다면 유수의 폭이 좁아져 병목현상이 발생, 이렇게 되면 바다물이 넘쳐 평택시는 물속에 수장되고 말것"이라며 생존위협을 가하는 개발은 저지되야 한다고 주장한다.
평택시는 1946년 대홍수시 원평동과 평택동, 합정동, 유천동, 군문동과 오성면 들판의 가옥이 떠내려간 적이 있으며 72년과 80년, 90년에 두세차례식 대홍수로 대규모 재산과 인명피해를 입은 사실이 있다. 작년 7월의 경우 비가 300㎜ 온 상태에서도 역앞을 비롯한 원평동, 세교동, 신장동, 서정동에 물이 차고 황구지와 진위를 비롯한 농경지 약5천㏊가 침수된 적이 있다. 이런 상태에서 행담도 주변갯벌을 매립해 바다의 폭을 좁혀 놓는다면 장마시 평택시의 피해는 더 클 것이라 것이 대책위의 주장이다.
또한 평택시민의 생존과 행담도 주변의 생태계와 황금어장, 청정지역의 파괴를 무릅쓰고 영리만을 목적으로 하는 도로공사의 개발이 강행된다면 당진군과 아산시, 화성군, 오산지역과 연대해 사업철회때까지 투쟁할 것이라 밝혔다. 대책위는 이통장연합회를 비롯한 시민단체협의회, 새마을 지회, 자연보호협의회, 평택시발전협의회 등의 참여단체가 합세해 행담도 개발 철회를 요구하는 주민서명 운동을 펼치고 있는데 현재 2만여명의 시민이 서명했으며 참여단체도 10개로 확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