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선 의원, 건교부 국감에서 '박근혜 어록' 제시해 시선집중

[국정감사 지상중계] '진검승부(眞劍勝負)'가 시작됐다. 국회의원 보좌진 경력 10년차인 한 보좌관은 실제로 국정감사의 개념을 이렇게 규정한 바 있다. "지난 1년 동안 행정부가 추진한 다양한 정책과 그 사업의 결과를 두고 잘잘못을 따지는, 이를테면 감사권을 갖고 있는 국회의 '창(槍)'과 이를 막아내야 하는 행정부의 '방패(防牌)'가 진검승부를 벌이는 대결의 장이다."(<국정감사 매뉴얼>, 서인석, 개마고원, 2003). 국정감사는 10월 4일부터 23일까지 20일 동안 총 4백57개 정부부처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평택시민신문과 여의도통신은 우리 지역 출신인 우제항(평택 갑), 정장선(평택 을) 의원의 국정감사 활동상을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보도하되, 그 빛과 그림자를 가감없이 전달할 것을 다짐한다. (편집자주)





"이제 와서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해 갑자기 반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 한나라당 의원들의 인식과 자세가 바뀌어야 한다."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정장선 의원(평택 을, 열린우리당)이 지난 4일 건설교통부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의 인식 전환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한나라당이 이전 비용으로 추산한 액수는 지나치게 부풀린 측면이 크다"면서 "신행정수도 이전에 무조건 반대만 하지 말고 이전 비용 등을 비롯한 여러 문제점들을 가지고 여당과 논의하려는 열린 자세를 가져달라"고 주문했다.

정 의원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과거 신행정수도 이전과 관련해 했던 발언들 즉 '어록(語錄)'을 증거로 제시하며 한나라당의 '말바꾸기'를 질책하기도 했다. 다음은 정 의원이 제시한 박 대표 어록의 일부이다.

△3월 21일(대전현충원 기자간담회): "국회에서 이미 통과됐기 때문에 그대로 지켜져야 한다. 성급하게 추진하지 말고 차질 없이 차분히 진행돼야 한다."

△3월 31일(충청지역 기자간담회): "행정수도 이전은 계획대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아무 걱정하지 말라.

△4월 10일(대전) "신행정수도 이전을 적극 추진할 것이며 충청권에서 한나라당 후보들에게 표를 줘야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진다."

△4월 28일(홍문표 국회의원 당선자 사무소에서 열린 17대 총선 후보자 간담회): "행정수도가 조기에 올 수 있도록 위원장 여러분이 계속 당을 지지해 달라."

△6월 21일(의원총회): "국회가 법을 통과시킨 문제인 만큼 책임지고 추진해야 된다고 생각했고 총선 때도 그렇게 얘기했지만 통과 과정에서 한나라당의 실책이 컸다."

△8월 5일(상임운영위원회): "국민의 동의 없는 수도 이전은 안 된다."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박근혜 대표의 입장이 총선을 기점으로 정반대로 바뀌었음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이와 관련 정 의원은 "나는 박 대표가 '원칙을 중시하는 지도자'라고 알고 있다"라고 언급, 박 대표의 아픈 곳을 은근히 꼬집었다.

이어서 정 의원은 "한나라당은 정치적 고려에 의한 말 바꾸기를 그만두고 여야 합의로 통과시켰던 신행정수도 이전에 적극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는 건교부가 총괄하고 있는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의 공방전이 지루하게 평행선을 달려 참관한 시민단체, 취재진, 공무원 관계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물론 양당 의원들은 자신들이 벌인 공방전이 "정쟁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국가의 백년지계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 명분은 같았지만 주장하는 내용은 전혀 달랐다.

한나라당은 '반대 민심, 차기 대선 공약, 현 경제의 어려움' 등을 근거로 열린우리당을 공격했고, 열린우리당은 '야당의 말 바꾸기, 국론 분열, 대안 없음'을 제시하며 맞공세를 펼쳤다.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이어지는 지루한 공방전을 지켜보다 못한 건교위 김한길 위원장은 "17대 첫 건교위 국감을 보기 위해 참석한 각계 시민단체 관계자들과 공무원들이 있다는 걸 유념해 주셨으면 한다"며 의원들의 자제를 간곡하게 당부하기도 했다.

결국 17대 국회 건교위 첫 국감은 한 야당 의원의 성토처럼 "정작 피감기관인 건교부 국감은 제쳐둔 채 신행정수도 이전 공방으로 인해 여야 의원들을 서로 감시하고 비판하는 소모적 정쟁"으로 끝나고 말았다.

<여의도통신=김은성 기자>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