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윤경
평택평화센터 사무국장

[평택시민신문] 지난 6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제1회 ‘한미어울림축제’가 팽성읍 K-6 캠프험프리즈 미군기지와 팽성읍 안정리 일원에서 개최됐다. 이번 축제는 주한미군 평택시대를 맞아 미8군 창설75주년을 기념해 주한미군이 평택시에 제안한 행사이다. 주한미군이 자체 기념행사를 평택시(지자체)에 제안한 이유는 축제비용 때문이다. 축제비용을 평택시에서 해결하라는 뜻. 평택시 한미협력과는 이번 행사에 1억 9천여만원을 책정했다고 한다.

팽성읍 K-6 캠프험프리즈 미군기지는 현재 ‘세균무기실험(주피터 프로젝트)’이 진행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곳이다. 그런 곳에 평택시민을 초청해 축제를 벌인다는 이유로 시민사회단체와 평택시민들은 강한 반대 의사을 표현했다. 또한 미군기지 내에 전시되는 군장비들이 실제 전투에 사용된 것으로 어린이들에게 폭력을 가르친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강하게 반대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제는 진행되었으며 평택시 추산 8만여명이 축제에 참가했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8만여명은 3일간 축제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간 것일까. 축제기간 모니터링을 한 내용을 적어보려 한다.

축제기간 중, 팽성읍 K-6 캠프험프리즈 미군기지 안에서는 ‘군장비체험’이 진행되었다. 전시된 군장비들은 ‘걸프전’에서 실제 사용되었던 무기들이다. 전시된 군장비를 설명해놓은 보드에는 ‘이 무기는 걸프전 때, 더 많은 이라크 장갑차를 파괴했습니다. 이 무기는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두 번째 이라크 전에서 더 많은 것을 파괴할 것입니다.’ 이 말은 전시된 무기들이 전쟁에서 실제 사용되었고 그곳에서 많은 사람들을 죽인 무기이며 다음 전쟁에서도 쓰일 무기란 설명이다. 그런 무기들을 아이들에게 체험하게 하는 것이 군장비체험이다. 당일, 모니터링을 위해 들어간 기지 안에는 많은 아이들이 부모 손에 이끌려 무기들을 만져보고 방아쇠를 당겨보며 장갑차에 들어가 사진을 찍었다. 이렇듯 무분별하게 무기를 접할 경우 아이들은 무기를 폭력이 아닌 평화의 상징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무기에 대한 막연한 동경으로 폭력을 정당화하고 폭력을 교육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군장비체험 맞은편에서는 실제 헬기에서 땅위 사람들을 겨냥해 무자비하게 총을 쏘아대는 훈련을 선보였다. 이것은 헬기라는 위협적인 무기로 사람을 죽인다는 생각보다는, 강하고 힘있는 무기를 저렇게 쓰는거구나 하는, 전쟁을 게임의 한 장면처럼 아이들이 인식하게 했다. 이렇게 완벽한 폭력교육은 어디에도 없을 것이다. 전쟁을 준비하는 기지는 어떠한 이유에서도 축제로 미화될 수 없는 이유다.

기지 바깥에서는 다양한 먹거리 부스와 체험부스들이 있었다. 축제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지역 축제인데 부스 대부분이 외부지역에서 들어와 설치된다는 것이다. 외부지역 부스가 많아지면 축제에서 거래되는 금액들은 모두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지역에서 순환되지 못한다. 이번 축제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부스가 외부지역에서 온 것들이었다. 지역도 다양했다. 이번 축제에서 팽성 상인연합회는 ‘많은 방문객들이 우리 지역을 찾아와 지역경제가 모처럼 활기를 띠었다.’고 했지만 얼마큼의 경제적 이익을 보았을까. 그날 시민사회 모니터링 결과로는 실익을 보지 못했다는 평이다. 평택시민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행한 축제에, 평택 경제에 실익이 주어지지 못한 축제. 이번 ‘한미어울림축제’는 주한미군 기념축제를 평택시민의 세금으로 대신 해주었을 뿐이며 전쟁을 미화한 축제일 뿐이다.

평택시는 축제기간 중에 시민, 외국인,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축제 평가단을 운영했다고 보도했다. 시민사회단체는 축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축제 평가단에 시민사회단체을 넣어 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평가단에는 시민사회단체는 빠져있다. 시민사회단체는 ‘축제 반대 캠페인’을 진행하며 자체 평가를 진행했다.

평택시는 이번 한미어울림축제의 평가내용을 바탕으로 7월 중 전문가를 초청해 축제문화 개선을 위한 토론회를 가진다는 계획이다. 축제문화 개선 토론회는 시민사회단체도 환영하는 바이다. 단, 축제문화 개선은 전문가가 아니라 시민들의 실제적인 이야기 속에서 마련된다. 이번 토론회에 시민과 시민사회단체도 함께 할 수 있어야 한다. 축제문화 개선 토론회에 시민과 시민사회단체도 함께 할 수 있도록 정장선 시장과 한미협력과에 정식으로 요청해본다.

※ 외부필자의 기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